README.md 파일은 소스코드에 앞서서 어떠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Repository인가를 개략적으로 또는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파일입니다.
예를 들어서 우리가 학교 또는 회사 그리고 팀을 이뤄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할 때 우리가 한 것은 어떤 것이고 어떤 기술을 사용해서 이러한 결과를 만들었다는 설명을 오픈소스로 공개했을 때 이메일로 매번 답변할 수가 없기 때문에 누군가에게 정제된 내용을 보여주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때문에 리드미 파일을 잘 작성함으로써 프로젝트 소개를 위한 필요한 정보들을 빠르고 간단명료하게 제시할 수가 있게 됩니다.
우리가 git과 github에서 많이 보는 파일로 Github에서 Repository를 만들때도 선택사항으로 만들 것인가 안 만들 것인가 옵션을 주기도 하는데 만약 안 만들 경우 만들면 다른 사람이 Repository를 볼 때 도움이 된다고 언급을 해주기도 합니다.
README 파일은 디렉토리나 압축 파일에 포함된 기타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서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정보 또한 함께 배포됩니다. 또한 현재 git과 같은 저장소에서도 해당 파일을 default로 생성하여 해당 저장소의 설명을 기입할 수가 있습니다.
포함되는 정보들 중에서 대표적인 정보 리스트이며 한개이상을 포함합니다.
위에 나열한 목록 이외에도 오픈 소스 배포판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다음의 항목들을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우선 우리가 보는 README파일에서. md라는 확장자가 붙어있습니다. md는 markdown이라는 약자입니다.
마크다운 (Markdown)은 일종의 마크업 언어로 텍스트에 태그를 이용해서 글자를 굵게 하거나, 이미지를 삽입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합니다. 마크다운은 웹상에서 글을 쓰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글쓰기 도구 (서식, 포맷, 양식)입니다. 마크다운뿐만 아니라 txt 등의 다양한 형식 또한 지원합니다.
작성을 위한 공간은 Github에서 실행이 가능합니다. 작성된 파일은 옆에 Preview 버튼을 눌러보면서 결과에 대해 미리 확인이 가능합니다.
# 을 하나 사용하면 <H1> 태그이며 2개 사용하면 <H2> 태그가 됩니다. #은 총 6개까지 사용 가능하며 늘어날 때마다 글씨가 작아지게 되니다.
# 제목
## 부제목
### 소제목
![]() |
![]() |
소스코드를 삽입하고 싶을 때는 숫자 1 버튼 왼쪽의 ` 기호를 사용하여 넣을 수가 있습니다. ``` 후에는 반드시 자신이 넣고자 하는 코드의 언어 종류를 명시해야 하는데 저는 c언어를 넣기 위해 c를 ```옆에다가 기입해주었습니다.
```c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printf("Hello world");
return 0;
}
```
![]() |
![]() |
텍스트에 링크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대괄호[ ]를 이용하여 README파일에서 보이는 이름을 기입하셔야 하며 그리고 실제 링크는 소괄호( )를 이용하여 대괄호 바로 옆에 기입을 해주시면 다음과 같이 음악 주소라는 글자에 마우스 클릭이 활성화되면서 특정 링크로 넘어가게 됩니다.
작성을 위해서 *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 깃 튜토리얼
* 깃 Clone
* 깃 Pull
* 깃 commit
* 깃 commit 1
![]() |
![]() |
작성을 위해서 >과 ' '를 적절하게 이용하시면 됩니다.
> '꾸준하게.' - CHJ -
![]() |
![]() |
이름|영어|정보|수학
---|---|---|---|
김|99점|90점|100점|
이|91점|95점|100점|
최|94점|97점|100점|
![]() |
![]() |
강조를 위해서는 **내용**과 같이 2개의 별표 사이에 강조하고 싶은 내용을 넣으면 되며 취소선을 표시하고 싶을 때는
~~ 내용~~ 과 같이 2개의 물결 표시 사이에 내용이 들어가게 작성해주면 됩니다.
마크다운의 장단점
장점
단점
10. Git에서 README.md 파일 작성해보기 (0) | 2021.11.22 |
---|---|
9. Git 로그 다뤄보기 (0) | 2021.11.21 |
6-1. Github 저장소의 Branch 이름 변경하는 방법 (0) | 2021.11.19 |
8. Git 원격 저장소 관리하기 (Remote Repository) (0) | 2021.11.18 |
7. Git Branch 충돌 처리하기 (0) | 2021.11.18 |
6. Git Branch와 Merge (0) | 2021.11.18 |
댓글 영역